반응형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의 국정과제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 만기는 5년입니다. 가입 대상은 만 19~34세 청년으로,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 정부는 납입한도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하며, 매칭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 구간별로 차등을 둡니다.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,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. 청년도약계좌 취급 기관은 일정 요건을 갖춘 금융회사들 중에서 모집됩니다. 취급기관은 매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신청하고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심사를 병행한 비대면 심사를 시행할 예정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를 중심으로 한 연계 지원을 통해 실질적 자산형성 지원 효과를 확대할 계획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자산형성을 이루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매력적인 상품입니다.
<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>
개인소득 (총급여 기준) |
본인 납입한도(月) | 기여금 지급한도(月) | 기여금 매칭비율 | 기여금 한도(月) |
2,400만원↓ | 70만원 | 40만원 | 6.0% | 2.4만원 |
3,600만원↓ | 50만원 | 4.6% | 2.3만원 | |
4,800만원↓ | 60만원 | 3.7% | 2.2만원 | |
6,000만원↓ | 70만원 | 3.0% | 2.1만원 | |
7,500만원↓ | - | - | - |
ㅇ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※는 ’23.3월부터 은행·증권사에서 출시될 예정입니다
※ 상품 개요
ㅇ 가입요건 : 총급여 5,000만원(종합소득금액 3,800만원) 이하인 청년
ㅇ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는 경우 펀드 납입액(연 최대 600만원)의 40%를 소득공제(최대 5년)
* 비과세 혜택만 적용되는 만큼, 청년도약계좌와 동시가입 허용
반응형
반응형
Comments